[334호 믿는 '페미'들의 직설]

“희년 전도사, 이 계획 확장시켜서 교사교육 때 하도록 해봐!”

교육 목사님의 지시가 떨어진 뒤 나는 두 눈을 질끈 감고 주먹을 쥐며 속으로 ‘예스! 예스!’를 외쳤다. 이 계획이란 ‘성폭력 예방 교육’으로, 내가 담당한 부서에서 교사와 학부모 대상으로 교육하려고 한 것이었다. 내가 위기 상담, 특히 젠더폭력 피해자 돌봄에 관심 있는 것을 아는 교육 목사님께서 ‘미투/위드유’ 운동의 흐름에 맞춰 교회학교 교사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라고 했을 때 얼마나 가슴이 떨렸는지 모른다. 보수적인 교회 안에서도 이런 교육이 가능하고, 교회에도 어느 정도 희망이 있었다.

하루가 멀다 하고 터지는 교회 내 성폭력과 여성혐오 발언, 소수자 배제 등의 폭력적인 현상을 몸으로 직접 겪으며 심신이 지쳐가던 찰나에 교회 안에서 열릴 성폭력 예방 교육은 나에게 정말 반가운 소식이었다. 바로 컴퓨터 앞에 앉아서 계획서를 다듬어 목사님께 제출했다. 어떤 내용으로 교육을 하면 좋을지 목차를 정하고, 설문지를 만들고, 관련 책들을 읽으며 열심히 준비했다. 이때까진 몰랐다. 성폭력 예방 교육 준비와 진행, 그리고 피드백 과정에서 내가 입을 엄청난 상처와 고통을.

시작도 전에 부딪힌 ‘벽’
강의 내용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교육 듣는 사람들이 교육 주제에 대해 어느 정도의 이해와 감수성을 가지고 있는지 필히 참고해야 한다. 그래서 나는 사회적으로 만연하고, 일반적이라고 여겨지는 ‘성폭력 통념’(강간 통념)에 대한 20개 정도의 문장을 가지고 왔다. 예를 들면 “노출이 심한 옷차림이 성폭력을 유발한다” “여성의 ‘No’라는 표현은 그 이면에 다른 뜻이 있다” “어린이나 친족에게 성폭력을 하는 가해자는 정신 나간 사람이다” “남자는 여자보다 성욕이 많다” “노인은 성욕이 거의 없다” 등등 성별화된 고정관념을 열거했다. 이러한 통념에 대해 나이별로, 성별로, 부서별로 어떻게 생각하는지 통계를 내기 위해 설문지 체크 사항에 안내문을 넣었다.

설문 주제는 ‘성의식 및 성폭력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라고 했다. 괜히 성폭력 통념, 강간 통념이라는 단어를 쓰면 설문자들의 솔직한 응답을 방해할 거 같아서였다. 마지막으로 평소에 궁금한 점에 대해 쓰도록 주관식 칸도 만들었다. 설문지는 구글 문서로 작성하여 시험용으로 먼저 동료 전도사들에게 설문을 부탁했다. 잠시 후 이의 제기가 들어왔다. 한 남성 전도사가 나이, 부서, 성별을 기입하면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며 수정을 요청했다. 나는 이 설문지의 목적은 나이, 성별, 부서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점검하는 것이며, 개인적으로 누가 어떤 생각을 하는지에 별 관심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익명성 보장이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을 받아들여 부서 체크 항목은 삭제했다. 몇 분 후, 또 이의 제가가 들어왔다. 아니, ‘딴지 건다’는 표현이 더 맞을 거 같다. 아래 내용은 당시 남자 전도사(이하 ‘남전’)들과 주고받은 대화의 일부다.

구독안내

이 기사는 유료회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 온라인구독 회원은 로그인을 해주시고 인증 절차를 거치면 유료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후원구독(월 1만 원 이상), 온라인구독(1년 5만 원) 회원이 아니시면 이번 기회에 〈복음과상황〉을 후원, 구독 해보세요.

저작권자 © 복음과상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